공부/영어

비지니스 영어 [ 직급 & 직위 편] 자주 쓰는 영어표현

♼〠☡♔♕♖♛ 2022. 8. 18. 01:05
반응형

직급, 직위 영어표현

직장 내 직급

What are postions of company?

외국에서는 연차에 따른 승진은 거의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 본인의 능력을 얼마나 발휘하고 어필하는지에 따라 프로모션 기회가 누구에게나 공평하게 주어지기 때문입니다.

 

그럼 먼저, 한국에서의 직급 체계가 어떻게 불리는지 살펴보겠습니다.

한국 일반적인 직급 순서

  • 인턴 > 사원 > 주임 > 대리 > 과장 > 차장 > 부장

한국 일반적인 임원 직급 순서

  • 이사 > 상무 > 전무 > 부사장 > 사장 > 부회장 > 회장

한국 연구직 회사 직급 순서

  • 연구원 > 선임 연구원 > 책임 연구원 > 수석 연구원

한국 생산직 회사 직급 순서

  • 사원 > 조장 > 반장 > 직장 > 공장장

 

 

그럼 외국에 경우 직급은 어떻게 불리는지 알아보려 한다. 

외국의 직급 순서

 

외국에서의 직급은 회사와 국가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대체로 직함을 중심으로 업무를 정의하며, 직급에 따라 상위 관리자는 역할에 따른 책임과 권한을 갖습니다. 아래는 외국의 직급 순서입니다.

  • Intern/Staff/Analyst/Associate (인턴, 경력이 얼마 안 된 신입 사원)
  • Specialist/Executive (사원)
  • Senior Specialist (대리 초, 사원)
  • Assistant Manager (주임, 대리)
  • Manager (과장, 차장)
  • Senior Manager (차장, 부장)
  • Director (부장, 이사급)
  • Senior Director (상무급 이상)
  • Vice President (부사장급 이상)
  • Executive Vice President/Senior Vice President (부사장급 이상)
  • CEO/President (사장, 회장)

직급과 직무의 차이

외국에서는 직급을 업무책임에 따라 정의하며, 사람을 부를 때 한국처럼 직함을 덧붙여 호칭하지 않고 이름을 부르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따라서 본인의 직급뿐 아니라 직무가 중요합니다.

 

외국에서는 직함으로 업무를 지칭하지만, 사람을 부를 때 한국과 달리 '00 대리님', '00 상무님'과 같은 직함을 덧붙여 호칭하지 않고, 그냥 이름을 부른다. 이는 문화적인 차이로, 직급보다는 본인의 직무와 리포트 라인이 중요한 의미를 갖기 때문이다. 따라서 외국에서는 나의 바로 위 보스, 즉 디렉트 보스가 누구인지를 아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명함만 보고 직함을 통해 정확히 파악하기 어려운 경우도 많고, 한국처럼 직급과 업무가 명확하게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직위 영어
출처 : Simplicable, https://simplicable.com/new/job-levels

그래서 자세히 하나하나 위에 언급한 직위에 대해 어떤 위치인지 설명하고자 한다.

직급의 영어 번역

  1. Staff, Analyst, Engineer: 대학교를 졸업하고 입사한 신입사원 또는 경력이 몇 년 안 되는 사원을 지칭합니다.
  2. Manager, Senior Manager: 팀 내에서 실무경험이 많고 신입 또는 경력이 얼마 안 되는 junior급을 교육 및 관리합니다.
  3. Director, Senior Director: 소규모 조직에서 혼자 업무를 진행하거나, 중간 관리자 역할을 합니다.
  4. Vice President: 기업 내 상위 관리자로, 특정 프로젝트나 P&L(손익 관리)을 담당합니다.
  5. Executive Vice President, Senior Vice President: CEO에게 직접 리포트를 보내며 대규모 조직을 관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6. CEO, CFO, COO: 최고 경영자, 최고 재무 책임자, 최고 운영 책임자로 각각 기업의 전략과 운영을 총괄합니다.

Job Title vs. Job Position

직급은 조직 내 서열을 나타내며, 직무는 본인이 맡은 일의 성격과 역할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매니저, 다이렉터, CEO는 직급이고, 마케팅, 세일즈, 회계는 직무입니다.

 

국제적인 환경에서 직급과 직무를 명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며, 회사마다 직급 체계와 직무가 다를 수 있다는 점을 유념해야 합니다. 직급이 아니라 리포트 라인책임을 기준으로 상대방의 역할을 이해하는 것이 더 효율적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