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영어

비지니스 영어 [ 직급 & 직위 편] 자주 쓰는 영어표현

by ♼〠☡♔♕♖♛
반응형

직급, 직위 영어표현

직장 내 직급

What are postions of company?

외국은 연차에 따른 승진은 거의 없다고 보면 된다. 본인 능력을 얼마나 보여주고 어필하느냐에 따라 프로모션 기회는 누구에게나 공평하게 주어진다.  그럼 먼저 한국의 경우 어떻게 불리는지 알아보자

한국 일반적인 직급 순서

인턴 > 사원 > 주임 > 대리 > 과장 > 차장 > 부장 

 

한국 일반적인 임원 직급 순서

이사 > 상무 > 전무 > 부사장 > 사장 > 부회장 > 회장

 

한국 연구직 회사 직급 순서

연구원 > 선임 연구원 > 책임 연구원 > 수석 연구원

 

한국 생산직 회사 직급 순서

사원 > 조장 > 반장 > 직장 > 공장장

 

 

그럼 외국에 경우 직급은 어떻게 불리는지 알아보려 한다. 

하단에 언급할 직급에 대해서도 한국과 약간의 의미는 다를 수 있으며 정확하게 번역하기도 어렵습니다. 이해하기 편하기 위해 한국어로 의미를 부여했다는 점 참고해주세요. 

 

Intern/ Staff/ Analyst/ Associate ( 인턴, 경력이 얼마 안 된 신입 사원) >  Specialist / Excutive ( 사원)  > Senior Specialist ( 사원, 대리 초)  > Assist Manager (주임, 대리) > Manager ( 과장, 차장)  > Senior manager (차장, 부장) > Director ( 부장, 이사급)  > Senior Director ( 상무 급 이상)  > Vice President ( 부사장 급 이상)  > Executive Vice President / Senior Vice President ( 부사장급) >  CEO/ President ( 사장, 회장 ) 

 

 

일단 외국에서는 직함으로 업무를 지칭하지만 사람을 부를 때 한국과 같이 00 대리님, 00 상무님이라고 따로 직함을 덧붙여 호칭하지 않고 이름을 부른다.  그렇기 때문에 본인은 나의 바로 위 보스 즉, 디렉트 보스가 누구인지 제일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명함만 보고 직함만 보고 한국처럼 딱 딱 떨어지지 않은 위치 및 업무가 다를 수 있다.

직위 영어
출처 : Simplicable, https://simplicable.com/new/job-levels

그래서 자세히 하나하나 위에 언급한 직위에 대해 어떤 위치인지 설명하고자 한다.

  • Staff, Analyst, Engineer 의 경우 : 대학교를 졸업하고 회사에 입사한 신입사원 또는 입사한지 얼마 되지 않아 경력이 몇 년 안 되는 사원을 부를때 쓰는 명칭으로 Freshman 에서 Junior 레벨까지 라고 보면 된다.
  • Manager, Senior Manager의 경우 : 팀 내에서 실무경험이 많으며 신입 또는 경력이 얼마 안 되는 junior급을 교육 및 관리하는 업무를 한다. 한국으로따지면 과장, 차장 급으로 Vice President 한테 디렉트도 리포트를 보내는 경우가 있으며 Director가 관리하는 소속에 포함된다고 보면 된다. 
  • Director, Senior Director의 경우: 소규모 조직은 본인이 맡거나 조직이 없이도 혼자서 업무를 하는 경우도 더러 있다. Manager아 Vice President 사이의 중간 관리자 및 중간자 역할이다. Vice President가 관리하는 팀에 소속이며 한국으로 따지면 이사, 부장 급으로 볼 수 있다. 
  • Vice President 의 경우 : Corporate Vice President  ( CVP 초임 임원, 상무 ), Senior Vice President ( SVP 전무)  한테 디렉트로 리포트 진행 허며 여기서부터 Executive라고 불러도 무관하다. 특정 프로젝트 또는 특정 프로턱트 라인에 Profit and Loss ( P&L 손익) 관리 및 책임을 가지고 있으며 종종 특정 회사에서는 Gerneral Manager라고 불리기도 한다.  내부 결정권에 대해 승인을 할 수도 있으며 한국으로 따지면 상무 급으로 보면 된다. 
  • Executive Vice President, Senior Vice President의 경우 : CEO 에게 디렉트로 리포트를 보내는 경우이며 회사 내에 큰 조직을 관리 관장한다고 보면 된다. 한국으로 따지면 부사장 또는 전무쯤으로 일에 대한 전문직식뿐만 아니라 리더십, 소프트 스킬, 인맥, 정치적 능력 등 다양한 능력을 갖춰야 한다.
  • CEO (Chief Executive Officer)의 경우 : 최고경영자로 최고 의사결정권자로 대외적으로 기업의 대표이며 의사화의 결의를 집행하고 회사 업무와 관련한 결정 및 집행하는 권한을 가진 사람
  • CFO ( Chief Financial Offcer)의 경우 : 최고 재무책임자로 회사 자금 전체 부분을 담당하는 총괄 책임자로서 회사 주가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회사 경리, 자금, 원가, 심사 등 재경 부분을 결정 및 집행하는 권한을 가진 사람
  • COO ( Chief Operating Officer )의 경우 : 최고 운영책임자로 회사 내 사업을 총괄하는 책임자로서 CEO의 독단적 경영구조를 막을 수 있으며 회사 정책에 따라 회사 내 일상적인 업무를 원활하게 추진할 수 있도록 도우며 결정하는 권한을 가진 사람
  • CIO ( Chief Information Officer)의 경우 : 최고 정보관리책임자로 정보기술 및 정보시스템 총괄에 대한 권한을 가진 사람
  • CTO ( Chief Technology Officer)의 경우 : 최고 기술 책임자로 회사 기술을 관리, 획득, 활용을 위해 경영지원 활동을 총괄하는 권한을 가진 사람 

Job title  VS Job Position

  • 직급은 조직 내의 서열로 직위에 따라 차이가 있다 : 예를 들면, 매니저, 다이렉터, CEO 
  • 직무는 본인이 담당하여 맡은 일을 의미한다 : 예를 들면, 마케팅, 세일즈, 회계

 

회사마다 나라마다 다양한 언어로 직책을 표현하고 있어 특정 지어 어떠하다 할 수는 없지만 많은 글로벌 회사들이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은 직위에 맞는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 하여 외국에서는 본인의 업무를 누구에게 리포트를 하는지에 따라 본인의 직위 및 직급을 파악할 수 있기에 해당 부분을 파악한다면 상대방의 직급을 가늠해볼 수 있다. 

반응형

댓글